서울특별시가 서울 성동구 성수전략정비구역1지구 주택재개발정비사업에 대한 실태조사에 나선 것을 두고 사업 지연에 대한 조합원들의 우려가 깊어지는 모양새다. 일부 조합원들 사이에서는 비상대책위원회가 조합 집행부를 흔드는 목적이 의심스럽다는 말도 나온다.
20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서울시의 이번 성수1지구 실태조사는 성수1지구 비대위가 조합 집행부를 겨냥해 서울시, 성동구청, 국토교통부 등 관계당국에 제기한 수백 건의 민원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비대위는 조합 집행부가 GS건설과 유착해 GS건설에 유리한 방향으로 시공사 선정 작업을 벌이고 있다는 의혹을 품고 이 같은 민원을 제기한 것으로 전해진다.
조합원들은 실태조사를 통해 사실관계가 밝혀지기 바라면서도 또다시 내부 분란이 불거질까 걱정하고 있는 분위기다. 비대위가 실태조사 결과 발표 이후 조합장 해임 총회를 추진할 예정이라고 공언했기 때문이다. 특히 조합 일각에서 비대위가 주도하는 조합장 해임 발의서 징구 활동을 현대건설이 지원하고 있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자칫 사업이 장기 표류할 수도 있다는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는 눈치다.
성수1지구의 한 조합원은 "비대위가 조합장 해임 발의서를 받기 위해 홍보 인력(텔레마케팅)을 동원하고 있다. 해임 발의서 제출을 요청하는 전화를 받았는데, 발신자가 '지인 부탁으로 무료 자원봉사를 하고 있다'는 말만 되풀이하더라는 조합원들이 무척 많다. 나도 그런 전화를 받았다. 그 배후에 현대건설이 있다는 구체적 정황들에 대한 소문이 파다하다"며 "조합원들이 거세게 항의하고 법적 문제를 거론하자 자칭 자원봉사자 중 일부가 활동을 그만뒀다"고 말했다.
비대위가 조합 집행부 해임을 위해 만든 '성수1지구 조합원 단톡방'을 통해 조합 집행부를 비난하는 글을 작성하게 하거나 조합 비난 게시물에 동조 댓글을 달게하는 방식으로 여론 몰이를 하고 있다는 말도 들린다.
또 다른 조합원은 "비대위 SNS 대화방에서 인허가 기관에 집단 민원을 넣도록 유도하고 있다. 비대위와 다른 입장을 보이는 조합원에 대해 공개적 비난과 함께 강제퇴장시키는 일도 벌어졌다"며 "비대위 주축 멤버들이 과거 조합을 상대로 조합설립 취소 소송을 제기하고 1평짜리 공유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조합원이거나, 타 구역에서 비대위 활동을 주도했던 경험을 갖고 있다. 비대위 활동의 저의가 의심스럽다"고 주장했다.
때문에 성수1지구 조합 내에선 조합 집행부를 끌어내리려는 데에 집중하는 비대위를 향한 불만이 점차 커지고 있는 모양새다.
앞선 조합원은 "조합 집행부가 GS건설과 유착했다는 의혹을 제기한 비대위야말로 현대건설을 뒷배로 두고 있는 것 같다"며 "만약 이게 사실이라면 비대위 때문에 사업이 지연되고 있는 셈이나 다름이 없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조합장 해임 총회 이후에 비대위가 어떤 행보를 보이는지 면밀하게 지켜볼 필요가 있다. 조합장 해임 총회가 실패로 끝나면 발의자가 총회 비용을 전액 부담해야 하는데, 만약 현대건설이 이 비용을 우회 지원할 시 이건 도정법 위반 사항이고 불법 대납이다. 또 다른 내부 갈등의 씨앗이 될 수도 있다"고 부연했다.
성수1지구 조합도 이 같은 뒷배 의혹에 강경한 입장이다.
조합의 한 관계자는 "현대건설의 비대위 지원이 사실로 밝혀질 경우 담당 임원과 팀장을 업무방해죄와 뇌물죄 등으로 형사 고발할 예정"이라며 "비대위에 지원된 자금이 시공사 선정 입찰 등 조합 업무를 방해하는 데에 사용되고 있는 것에 대한 책임을 지게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현재 성수1지구 조합은 재입찰에 앞서 GS건설, 현대건설, HDC현대산업개발 등 입찰 희망 건설사들과 간담회를 진행하면서 입찰지침서에 시공사들의 의견을 최대한 반영하려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관련 기사: 성수1지구 조합, 시공사 재입찰 나선다…"입찰지침 변경"). [뉴스드림]
